올해 2, 사람들의 많은 관심 속에서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이 열렸다. 그러나 중국은 한복, 윷놀이, 장구 등 한국의 전통문화들을 그들의 문화인 것처럼 표현해 한국인들의 분노를 샀다. 사실 중국의 한국 문화 뺏기는 예로부터 자주 있었다. 그들이 어떻게, 어떤 전통문화를 앗아가려 하는지 알아보자.

 

1. 동북공정(東北工程)이란?

사진 1 – 동북공정이 진행된 동북 3성

 

 동북공정은 동북변강역사여현상계열연구공정의 줄임말로, 중국 동북 지역의 역사와 현실을 연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이 연구는 중국 동북쪽 만주 지역의 정세 변화가 중국 변경지대에 끼칠 영향을 대비하기 위해 2002년부터 약 5년간 추진됐다. 그러나 동북공정의 궁극적인 목적은 만주와 요동의 역사를 중국사로 편입해 한반도 통일 시 발생할 수 있는 영토 분쟁을 방지하려는 것이었다.

 동북공정은 만주 지역의 동북 3성에 해당하는 헤이룽장성(흑룡강성), 랴오닝성(요녕성), 지린성(길림성)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주요 연구과제로는 동북지방사 연구, 동북민족사 연구, 고조선사·고구려사·발해사 연구, 중국과 한반도 관계사 연구 등이 있다. 특히 한국 전통 역사, 또는 현재 및 미래의 한반도 관련 연구가 동북공정의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연구는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을 바탕으로 추진됐다.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은 현재 중국 영토에 있는 모든 민족은 중국인이고, 그들의 역사 또한 중국 역사에 포함된다라는 영토 지상주의 역사관이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은 민족의 역사가 현재 중국 영토에서 이뤄졌으므로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이 중국의 지방정권이며, 그 역사도 중국사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왜곡된 역사를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했고,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수록돼 있던 한국사 관련 부분을 삭제했다. 중국 관영 통신사 신화통신고구려는 중국의 지방정권이라며 잘못된 사실을 보도했다.

표 1 – 동북공정의 주요 쟁점 및 반박

 

 역사 왜곡을 향한 중국의 움직임은 2003, 중국이 고구려 고분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신청하며 드러났다. 고구려 고분군은 2001년에 북한이 세계유산 등록을 요청했던 유적으로, 중국의 신청이 승인되면 고구려사가 중국의 역사라는 오해가 생길 수 있었다. 이를 막기 위해 남·북한이 협력하여 외교 작업을 펼쳤고, 덕분에 고구려 고분군은 북한의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후 국내에서 중국의 한국 역사 왜곡 문제가 대두됐다. 2004, 한국 정부는 한국사를 종합적으로 연구해 역사 왜곡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자 고구려연구재단을 발족했다. 2006년에는 동북아역사재단을 설립해 고구려연구재단을 이 기관에 통합했다. 이후 동북공정은 20075월에 종료됐지만, 지금도 중국에서는 한국의 역사 및 문화 왜곡 작업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2. 중국의 문화공정
 2-1. 한국 콘텐츠 표절

사진 2 – Mnet ‘프로듀스 101’과 ‘우상연습생’

 

 중국 동영상 회사 아이치이2018년 제작한 서바이벌 프로그램 우상연습생은 누적 조회 수 2억 뷰를 돌파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한국 시청자들은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Mnet ‘프로듀스 101’의 포맷을 도용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MC를 프로듀서로 부르는 점, 무대 구도, 평가 방식 등 프로듀스 101’의 진행 방식과 유사하다는 이유였다. ‘우상연습생프로듀스 101’의 중국판 프로그램이라고 오해하는 시청자들이 있을 정도였다.

사진 3 - 중국 예능 프로그램 '오징어의 승리'

 

 지난해 중국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유쿠(Youku)’는 새 예능 프로그램 오징어의 승리를 제작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로고부터 참가자들이 어린 시절 했던 게임을 즐긴다는 주요 내용까지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과 유사했다. 유쿠의 표절 논란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시청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유쿠가 프로그램의 이름을 게임의 승리로 수정하며 논란은 종결됐다.

표 2 – 2015~2020년 국내 프로그램 포맷 표절 사례

 

 이처럼 중국의 한국 콘텐츠 표절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한국 예능 프로그램 포맷 표절로 권리를 침해당한 사례는 약 20건이다. 이 중 19건은 중국에서 발생했다. 권리 침해가 대거 일어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제도적 구제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방송 포맷이 저작물로 인정되지 않고, 구성이 동일해도 이를 변형하면 저작권 침해로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사진 4 – 한국 ‘미르의 전설 2’와 중국 ‘남월전기 3D’
사진 5 – 한국 ‘던전 앤 파이터’와 중국 ‘아라드의 분노’
사진 6 – 한국 ‘배틀그라운드’와 중국 ‘황야행동’

 

 중국의 표절은 한국 방송계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발생하고 있다중국 게임사는 오래전부터 중국의 짝퉁 게임으로 매출에 손해를 보고 있다. 하지만 중국 짝퉁 게임들은 많은 인기를 얻었다. 위메이드 미르의 전설 2’는 출시 후 PC게임 700, 모바일 게임 7천 개의 짝퉁 게임이 등장했다. ‘아라드의 분노’, ‘던전과 용자’, ‘던전의 귀검전설등의 중국 게임들은 넥슨 던전 앤 파이터표절 의혹을 받았다.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를 표절한 황야행동은 연 5,200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심지어 넥슨 트리 오브 세이비어를 표절한 로스트테일이 국내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표절 게임이 한국으로 역수출되기도 했다.

 2000년대 초, 국내 게임사는 긴 소송 기간과 게임 시장으로부터의 배척이 두려워 중국의 표절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들은 현재 중국에 맞서 싸우기 시작했다. ‘던전 앤 파이터를 개발한 넥슨은 긴 소송 끝에 킹넷 아라드의 분노서비스 중지에 성공했다. 크래프톤은 중국 황야행동을 개발한 넷이즈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미르의 전설개발사 위메이드는 2016년부터 매우 긴 소송전을 벌였다. 이들은 ‘37게임즈’, ‘액토즈소프트’, ‘킹넷등 중국 게임사들에 제기한 저작권 침해 소송에서 승소했다.

 

 2-2. 중국의 한복공정

사진 7 – 한국의 ‘한복’과 중국의 ‘한푸’
사진 7 – 한국의 ‘한복’과 중국의 ‘한푸’

 

 ‘한복은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형식 변화 없이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 바지, 치마, 두루마기로 구성된다. ‘한푸는 중국 한족의 전통 의복을 통칭하는 말이다. 이는 춘추전국 시대부터 진나라, 한나라, 당나라, 송나라 등 각자 다른 나라의 의상을 모두 포함한다.

 한복과 한푸는 뚜렷한 형태적 차이를 가진다. 저고리와 치마가 분리되는 한복과 달리, 한푸는 상·하의가 분리되지 않는다. 한복이 아래로 갈수록 퍼지는 A라인 형태라면, 한푸는 상의와 하의 모두 힘이 없는 천으로 만들었기에 아래로 쳐지는 I라인 형태의 옷이다. 이러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한복이 한푸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의상이라 주장하고 있다.

사진 8 – 중국 모바일 게임 ‘샤이닝니키’

 

 ‘한복공정202011, 중국 페이퍼게임즈가 개발한 게임 샤이닝니키의 한국 진출과 함께 불거졌다. 페이퍼게임즈는 샤이닝니키의 한국 서버에 새로 추가한 아이템 한복한국의 전통의상이라 소개했다. 이에 대해 중국 이용자들은 한복은 중국의 전통의상이라고 항의했다. 개발사는 우리는 중국 기업으로 회사와 조국의 입장은 늘 일치한다라며 회사는 늘 중국 전통문화를 사랑하고 존중할 것이고 국가의 존엄도 지킬 것이라 밝혔다. 한국 이용자들의 반발이 커지자 샤이닝니키는 한복 의상을 삭제하고, 다음 날 한국 서비스를 종료했다.

 ‘샤이닝니키한복 사태 이후, 본격적으로 중국의 한복공정이 시작됐다. 중국 유명인들은 한복이 중국의 전통의상인 한푸라 주장했고, 네티즌들은 한국 유명인이 한복을 입은 사진에 악플을 퍼부었다. 이에 한국 네티즌들은 한복이 한국의 것임을 알리고자 다양한 한복의 사진을 자신의 SNS에 게시하는 한복 챌린지를 시작했다. 그러나 중국은 한국인이 중국의 전통의상을 뺏고 있다라며 한복 챌린지에 대응하는 한푸 챌린지를 진행했다.

사진 9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한복을 입고 등장하는 여성

 

 한복 논란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더욱 불거졌다. 개막식 중 중국 소수민족 대표와 사회 각계 대표들이 참여해 중국 국기를 전달하는 소시민들의 국기 전달퍼포먼스에서 한복을 입은 여성이 등장했다. 일각에서는 한복을 중국 소수민족의 전통의상으로 표현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중국은 한복을 입고 등장한 여성은 조선족의 대표로 등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중국의 수많은 문화 왜곡 사례를 지켜본 한국의 시선은 아직 따갑기만 하다.

 

 2-3. 문화공정의 중심에 선 김치

사진 10 – 한국 ‘김치’와 중국 ‘파오차이’

 

 한복과 함께 문화공정의 중심에 선 것은 김치이다. 김치에 대한 논란은 2020년 중국의 파오차이국제표준화기구(ISO)의 표준 인증을 받으며 커졌다.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이에 대해 중국의 김치 산업이 이번 인가로 국제 김치 시장에서 기준이 되었다라고 보도했다. 중국의 김치가 국제 표준을 통해 세계의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파오차이의 ISO 규격 문서에는 해당 표준은 김치에 적용되지 않는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김치는 2001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가 국제 표준으로 인정해 한국 고유의 음식으로 인정된 바 있다. 따라서 파오차이의 ISO 표준 인증은 중국이 김치의 종주국이라는 걸 의미하지 않는다.

 중국은 김치는 한국이 파오차이를 훔쳐 이름만 바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김치와 파오차이는 제조 공정 및 발효 단계에 있어 명백한 차이가 있다. 김치는 1차로 배추, 무 등 원료 채소를 소금에 절인 후 여기에 고춧가루, , 마늘, 생강 등 다양한 부재료로 양념해 2차로 발효한 음식이다. 두 번의 발효 과정에서 원재료에 없던 각종 영양분과 유산균이 생성된다. 이처럼 채소를 두 번에 걸쳐 발효시키는 식품은 전 세계에서 김치가 유일하다. 반면 파오차이는 소금, 산초잎 등을 넣고 끓인 후 식힌 즙에 각종 채소를 절여 만든 음식이다. 김치와 달리 2차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으며, 살균 공정으로 인해 발효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사진 11 – 김치를 만들고 있는 중국 유튜버

 

 김치와 파오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막무가내로 의견을 내세우고 있다. 1,400만 명의 구독자를 지닌 중국인 유튜버 리쯔치(李子柒)’‘Chinese Cusine(중국 요리)’, ‘Chinese Food(중국 음식)’ 해시태그와 함께 김치를 만들고 김치찌개를 끓이는 영상을 제작했다. 영상을 본 한국 네티즌들은 중국이 한국의 김치를 뺏어가려 한다라며 비판했고, 중국과 한국 네티즌들 간 분열이 발생했다. 이후 중국 랴오닝성 방송국의 아나운서 주샤는 이 논란을 언급하며 중국에서 김치라는 건 조선족의 전통음식에 불과하다라고 비난했다. 또한 그는 소국(한국)이 이웃 대국(중국)에 무례하게 굴면 나라가 망할 수도 있다라고 해 한국 네티즌들의 공분을 샀다.

 

3. 문화공정에 대한 반응

 3-1. 해외: 외신과 네티즌의 중국 비판

 이러한 중국의 문화공정에 대해 해외에서는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을까?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당시 중국의 편파 판정이 화두에 오른 후, 외신 기자들은 한·중 갈등에 관심을 보였다. 이들은 특히 한국의 반중감정 심화에 주목했다. 미국 CNN,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T)는 한중 갈등의 심화를 보도하며 문화공정과 올림픽 편파 판정을 그 원인으로 지목했다.

 영국 BBC는 김치 관련 논란 소식을 보도하며 중국을 비판했다. 이들은 한국 김치와 김장 문화를 소개하며 중국의 파오차이와는 다르다고 밝혔다. ‘ISO 문서는 이번 식품 규격이 김치에 적용되지 않는다라고 적시했지만, 일부 중국 언론은 이와 다르게 보도했다라고 비판했다.

사진 12 – 중국 예능 프로그램 ‘저취시가무’

 

 해외 네티즌도 한국의 손을 들었다. 중국 예능 저취시가무(Street Dance of China)’에서 한국의 민요 아리랑에 맞춰 부채춤을 췄다는 내용의 글이 해외 커뮤니티에 게시됐다. 이에 해외 네티즌들은 차라리 문화공정이 농담이었으면 좋겠다’, ‘중국은 자신의 문화를 더 신경 썼으면 좋겠다라며 중국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3-2. 국내: 반중감정 심화와 올바른 문화 확산을 위한 노력

표 3 – ‘중국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 조사 결과

 

 한편, 한국인들의 반응 또한 비판적이다. 한국리서치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중국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은 5년 전보다 약 30% 감소했다. 반면 적대적 감정은 25% 증가했다. 참여자의 과반수는 반중감정의 원인으로 문화공정을 지목했다. 이처럼 중국의 문화공정으로 발생한 갈등은 한국인의 반중감정을 심화시켰다.

 

사진 13 – 방탄소년단 슈가 인스타그램
사진 13 – 방탄소년단 슈가 인스타그램

 

사진 14 – 소녀시대 효연 인스타그램

 

 한편 한국 연예인들은 우리나라의 문화를 알리기 위해 힘쓰고 있다. 방탄소년단 슈가, 소녀시대 효연, 송가인 등 많은 유명인은 자신의 SNS에 한복을 입은 사진을 게시했다. 청하는 라이브 방송에서 한복을 활용한 앨범의 콘셉트를 언급하며 우리나라 문화를 많은 사람과 공유하고 싶다라고 밝혔다. 배우 이종혁은 곤룡포를 입은 사진과 함께 우리 것은 그냥 원래 우리 것이라는 글을 남겼다.

 박명수는 라디오 방송에서 중국을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한복 논란에 대해 예전 걸 가지고 우길 것이 아니다. 한류에 한복 등을 심어서 한국 거구나하고 알 수 있게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연예인들은 해외 팬들을 고려해 국가 간 갈등이 생길 상황을 피했었지만, 지금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 그들의 소신을 알리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올바른 문화를 알리기 위해 힘쓰고 있는 민간단체도 있다. 바로 1999년에 등장한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이다. 이들은 외국에 대한 국가 홍보 및 교류를 위해 등장한 비정부 민간단체로, 국가 정보를 알리고 잘못된 정보의 교정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해 9, 반크는 중국의 역사, 문화 왜곡의 실황을 알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난센스 차이나(nonsense-zh.prkorea.com)’ 웹사이트를 개설했다. ‘만리장성’, ‘동북공정’, ‘문화공정’,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카테고리로 구성된 이 사이트는 역사 시정에 대한 한국인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올해 2, 반크는 한국의 설날을 알리는 스티커와 포스터를 제작했다. 유엔(UN)2022년 설 기념 우표에 설날을 중국 음력이라고 표기했기 때문이다. 세계인들에게 설날은 중국의 것으로 각인되고 있고, 세계의 문화 갈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래서 반크는 직접 유엔에 항의 서한을 보냈고, ‘중국 음력표기를 시정할 것을 요청하는 글로벌 청원을 시작했다. 또한 한국의 설날을 알리는 스티커와 포스터를 제작해 배포했다. 이처럼 반크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역사가 없는 민족은 미래도 없다라는 말이 있다. 한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잃어버리면, 민족의 정체성도 잃을 수 있다. 우리의 것은 우리가 지켜야 한다. 지금은 우리의 적극적인 행동이 절실하게 필요할 때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 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