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AI 윤리, 이젠 기본적 가치 및 사회적 규범

지난 3월, 대학은 중앙도서관에서 신산업 분야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VR Lab을 구축해 가상현실을 통한 체험형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사진= 한남대 제공)
지난 3월, 대학은 중앙도서관에서 신산업 분야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VR Lab을 구축해 가상현실을 통한 체험형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사진= 한남대 제공)

 AI기술 발전으로 교육현장에서의 챗GPT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이로 인한 AI 윤리문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국내에서는 AI 윤리 관련 규범을 정해 발표하는 시도를 보였으며, 해외에서는 AI 윤리 관련 강의인 ‘책임있는 AI’를 개설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취했다. 

 두 달간 1억 명의 사용자를 기록한 챗GPT에게 윤리적 논란이 될 수 있는 답변을 유도하는 질문법이 온라인상에 공유되면서 인공지능의 윤리문제가 나타났다. 인공지능은 차별·혐오 표현이 담긴 내용과 정치적 민감도가 높은 질문은 윤리적 중립을 지켜야 해 답할 수 없다. 그러나 답변 제한을 교모하게 우회해 부정적 답변을 유하는 ‘탈옥’ 혹은 ‘우회’ 방법을 적용한다면 챗GPT의 규정을 무효화 할 수 있다. 

 올해 초 국제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영문 에세이를 챗GPT로 작성해 제출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교사들은 과제에 AI를 사용한 흔적을 검토하고 교사용 프로그램 사용 후 결과를 증명해 적발했고 전원 0점 처리를 한 사례가 있다. 교육현장은 챗GPT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인공지능이 대신할 수 없는 과제·시험을 출제하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에 본교가 개설한 AI 관련 수업은 ▲차세대 인공지능 ▲마케팅과 딥러닝 ▲인공지능의 이해 등 인공지능의 기본적인 개념 및 활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본교 AI 융합학과 김준영 교수는 인공지능 기술이 교육현장에서 활용되는 주요인으로 “생성형 AI를 사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주제를 다루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직접 신문물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최근 대학이 추구하는 현장 실무형 인재 양성 교육이다”라고 말했다.

 더불어 대학은 AI 면접 실습, AI 자기소개서 프로그램을 진행해 본교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면접 실습 또는 자기소개서 첨삭 솔루션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담당자는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의 한계를 알고 AI 기능으로 받은 평균적인 답변이 면접의 올바른 답변이 아님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AI 윤리가 도마 위에 오르자 지난 3월, 과기정통부는 ‘올해 하반기까지 디지털 권리장전을 만들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법적인 구속력을 가지지는 않지만, AI 기술과 관련해 사회가 전반적으로 함께 추구하고 지켜나가야 할 기본 가치·권리·의무 등을 담은 규범이다. 더불어 지난해 8월 교육부는 ‘교육 분야 인공지능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규범’을 발표하는 등 AI 윤리문제의 대응방안을 계속해 마련 중이다.

 김 교수는 “빠른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윤리문제를 심화시켰지만, 하드웨어의 발달로 대규모 데이터의 저장 및 처리가 가능해지고 딥러닝 알고리즘이 발전해 AI 기술이 더욱 늘어나고 있다”라고 말했다. 나아가 “인공지능 기술이 교육현장에서 적극 사용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여 줄 수 있는 새로운 도구 사용 방법을 빠르게 습득해 인력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 이채은 기자

저작권자 © 미디어 한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